KFNGS
1) Regulator 및 모든 정압기 부속설비는 각종 관련 법규에 적합하도록 설치되고 사용되어야 한다.
2) 이상 과압으로 부터 Regulator를 보호하고 Regulator 고장으로 인한 사고로 부터 2차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과압방지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3) Regulator의 설정압력보다 과다하게 높은 2차측 압력은 고무재질 Soft Seat 및 기타 Regulator 내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4) Spring 선정 시, 요구되는 설정압력을 갖는 2개 이상의 Spring이 있을 경우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가장 약한 Sp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Orifice Size는 사용유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을 선정한다.
6) Regulator는 일반적으로 82℃(180℉) 까지가 적절한 사용온도 범위이며, Fluorocarbon (FKM-Viton)과 같은 특수재질을 사용할 경우 최고 149℃(300℉)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항상 제품설명서에 언급된 재질과 사용온도 범위를 확인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Steam 과 같은 고온의 조건에는 Diaphragm 과 Seat의 재질로 Stainless Steel을 사용한다.
7) Spring은 파단(Sacrificing) 특성이나 수명에 관계없이 공시된 사용 범위 내의 모든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8) Regulator Body Size는 인접 배관의 Size 보다 절대로 커지지 않도록 한다. 대부분의 경우 Regulator Body Size는 배관 Size 보다 한 단계 작게 선정한다.
9) 불필요하게 Size가 큰 Regulator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사용유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작은 Size의 Orifice 및 Regulator를 선정한다. Main Port Size 즉 Regulator의 Size를 줄이지 않는 한, 그 Regulator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작은 Restricted Trim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소유량 제어에 효과를 보기 힘들다.
10) Regulator의 응답속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빠르다.
- 직동식 Regulator (S200, CSR)
- Two-Path Pilot식 Regulator (1098EGR, 99, 299)
- Unloading Pilot식 Regulator (EZR)
- Control Valve
주 : 직동식 Regulator가 가장빠른 응답속도를 갖기는 하지만 모든 직동식 Regulator가 그러지는 않다.
11) 일반적으로 직동식 Regulator는 Pilot식 Regulator 대비 급격한 유량 변동에 신속히 응답한다.
12) Regulator가 공칭유량을 통과시키지 못할 경우 Regulator 전단 배관에서 압력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Regulator Body 입구 연결부에서 압력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13) 압력 세팅은 평상시 Regulator가 공급하는 유량의 최소 5% 이상의 유량을 흘려 보내는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한다.
14) Droop이란 Regulator의 사용유량이 증가함에따라 발생하는 출구압력의 저하를 말한다. 이것은 시험된 데이타이고, 저유량에서 출구압력의 설정치와 설계 최대 유량일때의 실제 출구압력과의 차이를 나타내며 백분율(%) 또는 여러 가지 압력단위를 사용해서 표기된다.

15) Regulator의 출구압력은 입구압력의 변동에 따라 일정량 변동할 수 있다.
16) 고무재질 Soft Seat가 장착된 대부분의 Regulator는 유량이 감소하여 영(Zero)에 이를 때까지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후단압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대용량 상황을 대비하여 선정된 Regulator라도 가동이 중지된 동안에 Pilot 점화와 같이 소량의 가스가 필요한 경우라도 작동이 가능한 충분한 가동범위를 (Turndown Ratio) 가지고 있다.
17) Diaphragm 재질 특성상 미량의 가스가 Diaphragm을 통과할 수 있다. 이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Diaphragm 상부 케이싱에 Vent 구멍이 있어야 한다.
18) Regulator에 있는 Control Tab과 같거나 큰 Size의 Control Line을 사용하도록 한다. 만일 Control Line 길이가 길경우에는, 반드시 큰 Size의 Control Line을 사용하도록 한다. 길이가 6.1m(20 ft.) 이상의 Control Line일 경우에는 한단계 큰 호칭경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Control Line이 작을 경우에는 Regulator의 응답속도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이는 불안정한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최소 9.5mm(3/8”) 크기 이상의 배관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19) Regulator의 전후단 차압이 매 1Bar(15psi) 증가될 때마다, 자연 냉동효과에 의해 약 5/9℃(1℉)씩 가스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주변온도가 -1~7℃(30~40℉) 사이일 때는 가끔 동결의 문제가 발생한다.
20) 디스크에 동그란 서클마크가 보통보다 깊게 생겨있다면, 출구 압력이 과압상태가 있었음을 의미하므로 확인해 보도록 한다.
21) Relief Valve를 사용할 경우, 리셋되는 설정압력이 최초 방출을 시작하는 압력보다 (start-to-bubble point) 낮다는 것을 명심하도록 한다. 가스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Relief Valve의 설정압력을 Regulator 설정압력보다 충분히 높게 설정 하도록 한다.
22) Control Line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2차측 난류 발생지점 (Elbow, Pipe Swage, Block Valves 등)으로부터 관경의 약 10배 (10D) 떨어진 직관 지점에 연결하도록 한다.
23) Control Line을 Rotary Meter 또는 Turbine Meter 직후에 설치하지 않도록 한다.
24) 방출변은 반드시 아래를 향하게 설치하여서 응축수 및 기타 이물질이 Spring Case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25) Vent는 항상 열어두도록 한다. 그리고 Size가 작거나 길이가 긴 Vent Line 설치를 지양하도록 한다. 길이가 3.1m (10ft) 이상 및 Elbow를 기준 0.9m (3 ft) 이상의 Vent Line일 경우에는 한단계 큰 호칭경 파이프를 사용하기 권장한다.
26) Pilot식 Regulator에서 Pilot에 공급되는 압력을 줄이면 Regulator의 민감도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Regulator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Two-Path Control 타입의 Regulator에만 가능)
27) 대유량 사용 및 압력감소가 큰 Regulator에서는 소음이 발생한다. 소음은 Regulator 내부 부품에 손상을 가할 수 있고, 결국 작동 불능을 초래하거나 정밀도가 낮아질 수 있다. 항상 소음을 110 dBA 이하로 유지하도록 한다.
28) 요금산출용 고정수치 (Fixed Factory Measurement) 로서의 기능이 요구되는 Regulator는 후단압력을 절대압력 ±1% 내에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예 : 설정압력 2 psig + 14.7 psia = 16.7 psia X 0.01 = ±0.167 psi. (설정압력 0.14 bar+1.01 bar = 1.15 bar X 0.01 = ±0.0115 bar)
29) Regulator 유량상수 Cg는 오직 Pilot식 Regulator의 유량을 계산 할 때에만 사용된다. 직동식Regulator의 유량을 확인할 경우에는 유량표 및 유량차트를 참조하도록 한다.
30) Monitor 시스템을 설계할 때, Active Regulator 보다 작은 Size로 Monitor Regulator를 선정하지 않도록 한다. Monitor Regulator가 ‘Wide-Open’ 상태일지라 하더라도 Monitor Regulator를 통해 일정량의 차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Monitor 시스템에서 동일한 Regulator 2기를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1기의 Regulator가 설치된 시스템보다 약 70% 정도의 유량만이 생성이 되곤 한다.
31) Working Monitor 시스템을 설계할 시에는, 2기의 Regulator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단의 Regulator가 2기의 Regulator 사이의 중간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32) Monitor 및 Active Regulator의 설정압력을 지나치게 근접하게 잡지 않도록 한다. 만일 그렇다면, Monitor Regulator는 계속해서 작동을 시작하려고 할 것이고 이는 불안정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유량도 감소할 수 있다. 2기의 Regulator 설정압력 차이를 최소한 Proportional Band 이상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33) 가능하다면 Butt-Weld End 타입의 Regulator를 권장한다. 이를 통해서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랜지 면에서 발생하는 누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4) Control Line에 Needle 밸브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Full-Open 타입의 밸브를 사용한다. Needle 밸브는 불안정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35) Regulator를 땅에 묻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땅에 묻어야만 한다면, Vent는 지면의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또한 막히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